본문 바로가기
붓글씨

경(敬)의 마음

by dowori57 2024. 7. 2.
728x90

5월초부터 베껴쓰던 '경의 마음으로 사람을 빚다'의 마지막 장을 넘겼다.
하루한장의 습자지에  책자의 글귀를 베껴쓰다보니 어느사이 두터운
책장의 마지막을 넘긴다.
마지막 글귀로 퇴계의 자명(自銘)를 따라 써 보는데,
높고도 존귀하신 어귀가 가슴에 울린다.
글을 베껴 쓰면서 어른의 고귀하고도 청아한 말씀을 들으면서,
마음도 가다듬고 글씨도 늘어가는 것을 느끼니 뿌듯하기도하다.

 

退溪 自銘

생이대치(生而大癡)--태어나서는 크게 어리석었고

장이다질(壯而多疾)--장성해서는 병도 많았네.

중하기학(中何嗜學)--중년에는 어찌 학문을 좋아했으며

만하도작(晩何叨爵)--만년에 어찌 벼슬을 탐하였던고.

학구유막(學求猶邈)--학문은 구할수록 오히려 멀어지고

작사유영(爵辭愈嬰)--벼슬은 마다해도 더욱  얽어매네.

진행지겁(進行之跲)--벼슬길에 나가서는 잘못 있었고

퇴장지정(退藏之貞)--물러나서 갈무리는 곧게 하였네.

심참국은(深慙國恩)--나라의 은혜에 매우 부끄럽고

단외성언(亶畏聖言)--성현의 말씀이 참으로 두려워라.

유산억억(有山嶷嶷)--산은 높고 높이 솟아있고

유수원원(有水源源)--물은 끊임없이 흐르누나. 

파사초복(婆裟初服)--벼슬살이 벗어나 한가로우니

탈략중산(脫略衆訕)--뭇 사람 비방에서 벗어났구나.

아회이조(我懷伊阻)--나의 뜻이 이렇게 막히니

아패수완(我佩誰玩)--나의 학문 그 누가 즐기리.

아사고인(我思古人)--내가 옛 사람을 생각하니

실획아심(實獲我心)--실로 내 마음과 같구나.

영지내세(寧知來世)--어찌 알리오 다음 세상이

불획금혜(不獲今兮)--지금의 내 마음을 알지 못하리라

우중유락(憂中有樂)--근심 속에 즐거움이 있고

락중유우(樂中有憂)--즐거움 속에 근심이 있네.

승화귀진(乘化歸盡)--조화를 타고 돌아가니

부하구혜(復何求兮)--다시 무엇을 구하리오

728x90

'붓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사여래본원경  (4) 2024.08.13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0) 2024.08.09
敬의 마음으로 사람을 빚다  (0) 2024.05.09
論語를 마치며  (2) 2024.05.04
논어ᆢ  (0)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