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165

산성공원걷기

아침을 먹고나니 내리던 비가 그친듯보여 준비하고 활터로 향하는데 비가 다시 내리기 시작한다. 활터에 도착하니 제법 많은 비가 내려 괜히 왔나싶은데 먼저 올라온 사우한분이 반갑게 맞아준다. 아무도 없어 내려갈까 생각중이었다니 무척이나 반가웠으리라. 빗속에 한순을 내고나니 다시 비가 그친다. 깎지를 새로구입하였더니 잘 적응이 되지않는다. 그동안 사용하던 암깎지의 착용법이 잘못되어 현이 살을 물고 걸리니 발시시에 무척이나 아픈것을 참고 습사하였는데 그것이 잘못된 것이다. 다시 기초부터 배워 습사에 임하여야한다. 열순을 내고는 활터를 나와 아들네 집으로 달린다. 해외근무중이라 가끔들려 집과 차를 살피는데 다음주 며느리가 귀국한다니 이번이 마지막 방문인가보다. 한달만에 들린 아들집은 거실에 날벌레들이 여기저기 수..

題僧軸, 湖行絶句 , 戱題

제승축(題僧軸) - 스님의 두루마리에 쓰다. 임유후(任有後) 1601 – 1673 山擁招提石逕斜 洞天幽杳閟雲霞 산옹초제석경사 동천유묘비운하 산온통 절을안아 돌길이 가파른데 골짜기 깊고깊어 구름에 잠겨있다 居僧說我春多事 門巷朝朝掃落花 거승설아춘다사 문항조조소락화 스님은 봄이라서 일많다 말하면서 아침마다 문앞에서 진꽃을 비질하네. 호행절구(湖行絶句) - 충청도를 지나면서 지은 절구 김득신(金得臣) 1604 – 1684 湖西踏塵向秦關 長路行行不暫閑 호서답진향진관 장로행행불잠한 충청도 다지나서 서울로 향해가니 길멀어 가도가도 눈돌릴 짬이없네 驪背睡餘開眼見 暮雲殘雪是何山 여배수여개안견 모운잔설시하산 나귀등 선잠깨어 눈뜨고 바라보니 석양에 남은흰눈 산이름 모르겠네 - 戱題(희제) -李惟泰 水面天心一段淸(수면천심일단..

붓글씨 2022.06.14

981회 호암.삼성산(220614)

1.2022.06.14(화)10:05-13:35(3.30hr) 맑음 2.solo 3.석수역-호암산-장군봉-칼바위-서울대입구, 7.6km 4.십여일 넘게 산행을 하지않아 몸이 찌브듯 한 것 같아 저녁에 수업이있지만 조식 후 집을나선다. 요즘은 햇살이 강열하여선지 나이가 들어선지, 선그라스를 껴야 눈이 편안해진다. 하나뿐이 선그라스는 차에 있으니 매번 가지고 다니기도 불편하고 안경에 부착하는 형태의 2개도 보이지를 않으니 오래전 퇴직시에 선물로 받은 선그라스를 가지고 간다. 얼마전 껴보니 시력이 잘 맞지 않은 듯하여 사용치 않고 있는데 ,오늘 착용하여보니 그렇치만도 않은 것 같다. 남부지방에 비가온다더니 햇살은 강하지만 바람이 불어와 신선한 느낌이드는 날씨이다. 숲속 자연에 들어서면 몸과마음이 편안해지니 이..

流山錄 2022.06.14

드론자격교육

드론교육 2일차에 접어들면서 실기교육을 위한 기초로서 드론 자격을 취득해야한단다. 현행법으로 드론자격은 4가지가 있고 4종을 취득하여야 드론을 조종하여 날릴수가 있다. 4종은 최대이륙중량이 250g~2kg 까지 해당되며 온라인교육을 6시간 이수하고 시험을 보아 70점이상을 받아야하고 수료증이 발급된다. 3종은 2~7kg중량으로 6시간이상의 기체조종경력과 더불어 필기시험을 보아야하며 2종은 7~25kg중량으로 10시간이상의 기체 조종경력과 필기 및 실기시험 1종은 25~150kg 중량으로 기체조정시간 20시간으로 필기 및 실기시험을 보아 합격이 되어야 한다. 우선은 4종교육을 받고 수료증을 취득하면 일상적인 드론을 조종할 수가 있으니 그것으로 조종하면서 촬영등이 가능하다니 경험을 쌓다가 필요하면 상위 자격..

학습 2022.06.13

江頭送別,還淮中,熊淵泛舟示永叔

강두송별(江頭送別) 鄭鱗卿 강가에서 송별하다 江風一棹送將歸(강풍일도송장귀) : 바람 이는 강에 노저어 보내고 돌아오려니 夾岸桃花亂打衣(협안도화난타의) : 양 언덕의 복사꽃 어지럽게 옷깃을 때리며 난다. 大醉不知離別苦(대취부지이별고) : 크게 취하여 이별의 고통을 몰랐더니 夕陽西下轉依依(석양서하전의의) : 석양이 서쪽으로 떨어지니 더욱 아쉬워 진다. ============================================================= 환회중(還淮中) - 회중으로 돌아와서 신익성(申翊聖) 1588 – 1644 臘月行人四月歸 江波無恙白鷗飛 납월행인사월귀 강파무양백구비 섣달에 길을떠나 사월에 돌아오니 강물결 변함없고 백구도 그대로네 從今更約漁樵伴 和雨和烟上釣磯 종금갱약어초반 화우화연상조..

카테고리 없음 2022.06.13

楊柳詞,彈琴臺,新燕

楊柳詞(양류사)-琴恪(금각) 送君心逐光風去(송군심축광풍거) : 당신을 보낸 아쉬움에 내 마음 광풍을 쫓아가니 去掛江頭綠柳枝(거괘강두록류지) : 강가 푸른 버드나무 가지에 걸렸네 綠柳能知心裏事(록류능지심리사) : 버드나무 내 마음 다 알겠거니 煙絲强欲繫郎衣(연사강욕계낭의) : 실버들이여 억지로라도 임의 옷자락 잡아다오 - 彈琴臺(탄금대) -李明漢 片雲飛雨過琴臺(편운비우과금대)한데, 招得忠魂酹酒回(초득충혼뢰주회)를. 欲問當時成敗事(욕문당시성패사)나, 暮山無語水聲哀(모산무어수성애)를. 조각 구름, 흩어지는 비 탄금대를 지나는데, 충혼(忠魂)들 불러모아 술을 먹여 보내었네. 당시의 성패사(成敗事)를 묻고자 하나, 저문 산은 말이 없고 물결만 애달프게 우는구나. 新燕(신연) 李植(이식) 萬事悠悠一笑揮(만사유유일소..

붓글씨 2022.06.12

파주 삼릉

활터를 나와 인근의 파주삼릉을 찾는다. 일부러 오기에는 애매하고 점심도 먹었으니 조금 걸을겸해서 찾는다. 서울인근의 왕릉을 찾아보는 것도 우거진 삼림속에 조용함을 즐기며 걷기에 좋다. 오래전 근무하였고 몇년전 걸었던 서오릉도 호젓하니 좋았다. 주차를 하고 입장을 하니 서울에서 다소 거리가 있어선지 그리 사람들이 많지않고 한적하여 걷기에 좋다. 조선시대의 공릉,선릉,영릉등 세개의 왕릉이 위치한 곳으로 소나무숲과 흙길이 잘 어우러져 걷기에 멋진 곳이다. 다소 덥기는 하지만 걷는길 대부분이 숲속의 그늘아래여서 크게 힘들지가 않다. 무릎연골이 좋지않아 산행을 자제하는 도반도 걷기가 좋다며 이리저리 걷자고한다. 공릉을 둘러보고 숲길을 잠시 걸은다음 다시 선릉을 보고 다시 한바퀴를 돌아 영릉을 구경한다. 왕릉은 모..

국궁대회(파주 금호정 220612)

여섯시에 기상하여 조식 및 준비를하고 파주금호정을 내비에 입력하고는 차를 달리는데, 자유로를 택하지않아 이상하다싶었는데 광탄의 보광사입구에서 안내를 마처 부근을 살펴보니 금호정이라는 식당간판이 보여 실소한다. 제대로된 주소를 확인하여야하는데 주소가없고 목적지를 제대로 확인치 않은 실수이다. 새벽5시에 같이 가자는 팀과 여덟시에 활터에서 동승하자는 팀의 제의를 물리치고 단독으로 출발한 죄인가싶다.? 다시 티맵으로 확인하고 달려서 금호정에도착하니 8시. 작대를 넣으니 35대의 노년부이다. 여성부,장년부,노년부중에서....벌써노년부? 세월은 흘러가는것... 두시간여 이상을 기다려야 할 것 같다. 삼년전인가? 전국대회에서도 하염없이 기다려야했고 입단대회에서도 많이 기다렸다. 국궁은 기다림과 인내의 시간인 모양이..

국궁 2022.06.12

漁舟圖,大同江,破鏡

어주도(漁舟圖) 고기잡이 배 고경명(高敬命, 1533~1592) 蘆洲風颭雪漫空(노주풍점설만공) 沽酒歸來繫短蓬(고주귀래계단봉) 橫笛數聲江月白(횡적수성강월백) 宿禽飛起渚煙中(숙금비기저연중) 갈대밭에 바람 일고 눈보라 몰아쳐 술 받아 돌아와서 쪽배를 묶는데 피리 소리 몇 가락 강물 위로 달 밝아 자던 새 몇 마리가 물안개 속을 나누나 大同江(대동강) 李廷龜 防草萋萋雨後多(방초처처우후다)한데, 夕陽洲畔采菱歌(석양주반채릉가)를. 佳人十幅綃裙綠(가인십폭초군록)하니, 染出南湖春水波(염출남호춘수파)를. - 대동강(大同江) - 비 온 뒤라, 방초(芳草)가 무성히 불어났는데, 석양의 섬 가에는 채릉가(采菱歌) 소리 들려오네. 고운 그녀의 열 폭 생사(生絲) 치마는 푸른빛 머금었으니, 남호(南湖)의 봄 물결에서 물감을 짜내..

붓글씨 2022.06.11

원미산둘레길

내일이 파주 국궁대회이니 아침부터 활터에 올라 습사를 한다. 아직은 미천한 실력으로 대회출전정도는 아닌데, 경험삼아 대회출전을 많이 해봐야한다고 추천하니 한번 신청을 해보았다. 2년전에도 공주대회에 출전한 적도 있기는 한데... 여름으로 접어들며 기온이 오르고 더위가 시작되는가보다. 날이 덥고 태양이 이글거리나 바람이 불면 시원한날씨이고 그늘이면 더욱 시원하다. 오전에 활을 내어보는데 그럭저럭 평2중의 정도의 실적을 내다가 어느순간 몰기가 된다. 기록을 시작하면서 12번째의 몰기가 되었다. 사실 몰기도 좋지만 더욱 좋은 것은 꾸준하게 일정한 시수가 나오는 것이다. 될 듯 말 듯 어려운 활이요 화살이지만 조금씩 감을 잡아가면서 습사에 임하고는 활터를 나와 인근 식당에서 콩국수를 맛있게 먹고 다시 활터인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