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글씨 137

尊舅以求螟事行次坡州,述懷

한시 100선을 쓰기 시작한지가 5.12일이니 두달에서 한주가 빠진날 100선을 다 써보았다. 뜻하는대로 써진 부분도 없진 않지만 대체적으로 붓을 잡은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이런가 싶도록 부족하고 미진한 것 투성이다. 그러나 잘썼던 부족하던 한번 써보았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한시의 의미도 느껴보고 붓글씨도 습사하고...열심히 노력한 기간이었다. - 尊舅以求螟事行次坡州(존구이구명사행차파주) - 南貞一軒 他人有子我求螟(타인유자아구명)하니, 病舅登程淚幾零(병구등정루기령)을. 日夜祈望惟在此(일야기망유재차)하니, 鳳雛何處生寧馨(봉추하처생영형)고. - 시아버님이 양자를 구하러 파주(坡州)로 가시다 - 남들은 아들이 있지만 나는 양자를 구해야 하니, 병든 시아버님 길 떠나면서 얼마나 우셨을까. 자나깨나 오직 후사 ..

붓글씨 2022.07.05

細雨,寄呈,暮春呈女兄鷗亭道人

- 細雨(세우) - 金錦園 簾幕初開水國天(염막초개수국천)한데, 春風十二畵欄前(춘풍십이화란전)을. 隔江桃李連江柳(격강도리연강류)나, 盡入空濛一色煙(진입공몽일색연)을. - 가랑비 - 주렴을 막 걷어보니 강물이 가득한데, 춘풍(春風)은 그림 그려진 열 두 난간에 불어오네. 강 건너엔 도리(桃李)가, 강 옆에는 버들이 섰는데, 모두가 뿌연 안개 속에 잠겨있구나. - 寄呈(기정) - 朴竹西 燭影輝輝曙色分(촉영휘휘서색분)한데, 酸嘶孤鴈不堪聞(산시고안불감문)을. 相思一段心如石(상사일단심여석)하니, 夢醒依俙尙對君(몽성의희상대군)을. - 님에게 드림 - 촛불은 환하고 먼동은 터 오는데, 슬피 우는 외기러기 소리 차마 듣지 못하겠소. 그리워하는 이 마음 돌처럼 굳기에, 꿈 깨어 어릿할 땐 그대가 눈앞에 계신 듯하오. - ..

붓글씨 2022.07.04

有鄕生挑之以詩拒之,除夕,踏靑

- 有鄕生挑之以詩拒之(유향생도지이시거지) - 楚玉 我本荊山和氏璧(아본형산화씨벽)인데, 偶然流落洛江頭(우연유락낙강두)를. 秦城十五猶難得(진성십오유난득)이어늘, 何況鄕閭一府儒(하황향려일부유)에랴. - 시골의 어떤 선비가 유혹하거늘 시로써 물리치다 - 나는 본래 형산(荊山)의 화씨벽(和氏璧)인데, 우연히 낙동강 가로 떠내려 왔을 뿐. 진(秦)나라의 성(城) 열 다섯 개로도 가질 수 없거늘, 하물며 시골의 일개 썩은 선비 따위이랴. - 除夕(제석) - 平壤妓生 歲暮寒窓客不眠(세모한창객불면)하야 思兄憶弟意凄然(사형억제의처연)을. 孤燈欲滅愁難歇(고등욕멸수난헐)하야 泣抱朱絃餞舊年(읍포주현전구년)을. - 한해의 마지막 밤 - 세모(歲暮)의 차가운 창문 아래 잠 못 드는 객은 형제를 생각하니 마음이 서글퍼지네. 외로운 ..

붓글씨 2022.06.28

臨死作,夕照,兄弟共次庶母明字絶

- 臨死作(임사작) - 尹氏 芙蓉城裏玉簫聲(부용성리옥소성)한데, 十二欄干瑞靄生(십이난간서애생)을. 歸夢悤悤天欲曙(귀몽총총천욕서)한데, 半窓殘月映花明(반창잔월영화명)을. - 죽음에 임하여 짓다 - 부용성(芙蓉城) 안에는 옥퉁소 소리 울리는데, 열 두 굽이 난간 아래엔 상스러운 안개 피어나네. 저승길은 먼동이 틀 때 바빠지는데, 창가에 지는 달은 꽃에 비치어 더 밝구나. - 夕照(석조) - 李氏 漁人款乃帶潮歸(어인관내대조귀)한데, 山影倒江掩夕扉(산영도강엄석비)를. 知是來時逢海雨(지시래시봉해우)하니, 船頭斜掛綠蓑衣(선두사괘록사의)를. - 저녁 노을 - 어부들 노 젖는 소리 파도를 몰고 돌아올 때, 산 그림자 강물에 거꾸로 비치자 저문 사립문 닫아거네. 돌아오는 어부들 해우(海雨)를 만난 줄 알겠으니, 뱃머리에..

붓글씨 2022.06.26

病中愁思,寄征人,夜行

내일이 부천궁도협회장배 대회이니 아침에 사대에 올라 습사를 한다. 깎지를 바꾸고 자세와 방향등이 좋지않아 다시 예전에 쓰던 것을 엄지에 잘 조정하여 사용한다. 조금 시수가 나은 듯도하고 애매하다. 촉이 손가락에 닿을 듯한 만작과 지사과 관건인 듯 하다. 습사를 마치고 인근 원미산을 걸어본다. 시발점에서 간신히 식당을 찾아 식사를 하고는 원미산 산림욕장을 한바퀴 돌아보고는 귀가하여 붓을 잡는다. - 병중수사(病中愁思) - 梅窓 空閨養拙病餘身(공규양졸병여신)하니, 長任飢寒四十春(장임기한사십춘)을. 借問人生能幾許(차문인생능기허) 胸懷無日不沾巾(흉회무일불첨건)을 - 병중의 시름 - 독수공방에 병을 다스리는 이 몸. 돌아보니, 기한(飢寒)을 견딘 지 사십 년이 되었구나, 묻건대 인생살이는 그 얼마이던가. 서글픈 ..

붓글씨 2022.06.25

泣別慈親,呈玉山,遊仙詞

- 泣別慈親(읍별자친) - 申師任堂 慈親鶴髮在臨瀛(자친학발재임영)한데, 身向長安獨去情(신향장안독거정)을. 回首北村時一望(회수북촌시일망)하니, 白雲飛出暮山靑(백운비출모산청)을. - 눈물로 어머니를 떠나다 - 백발의 어머니 강릉(江陵) 땅에 계신데, 이 몸만 서울로 향하니 홀로 가는 이 심정이여! 머리 돌려 북촌(北村) 땅 한 번 바라보니, 흰 구름 날리는 저문 산은 푸르기도 하여라. - 정옥산(呈玉山) - 元氏 秋淸池閣意徘徊(추청지각의배회)한데, 向夜憑欄月獨來(향야빙란월독래)를. 滿水芙蓉三百本(만수부용삼백본)은 送君從此爲誰開(송군종차위수개)오. - 옥산(玉山)에게 드리다 - 맑은 가을 못 가의 누각에 있노라니 마음이 뒤숭숭한데, 깊어 가는 밤 난간에 기대어 있을 때 달이 홀로 떠오네. 물에 가득 부용화(芙..

붓글씨 2022.06.24

扶餘懷古,歌贈南止亭,別金慶元

扶餘懷古(부여회고) 於宇同 白馬臺空經幾歲(백마대공경기세) 백마대 빈 지 몇 해가 되었는가 落花巖立過多時(낙화암입과다시) 낙화암 선 채로 많은 세월 지났네 靑山若不曾緘黙(청산약부증함묵) 청산이 만약 진작 침묵하지 않았다면 千古興亡問可知(천고흥망문가지) 천고 흥망을 물어보면 알 것을 歌贈南止亭(가증남지정) 남지정 에게 드리는 노래 - 朝雲(조운)- 富貴功名可且休(부귀공명가차휴) : 부귀니 공명이니 잠시 잊어요 有山有水足遨遊(유산유수족오유) : 산 있고 물 있으면 그만이지요. 與君共臥一間屋(여군공와일간옥) : 한 칸 집이라도 그대와 누워 秋風明月成白頭(추풍명월성백두) : 가을바람 밝은 달과 오래 살아요 別金慶元 黃眞伊 김경원과 이별 三世金緣成燕尾(삼세금연성연미) 영원한 굳은 인연 제비 꼬리처럼 갈라지니 此中生..

붓글씨 2022.06.23

詠子規,長安寺,贈金台鉉

- 詠子規(영자규) - 許愈 客散西園意轉凄(객산서원의전처)한데, 牧丹花靜月初低(목단화정월초저)를. 千古騷人頭白盡(천고소인두백진)이나, 南山終夜子規啼(남산종야자규제)를. - 자규(子規)를 노래하다 - 서쪽 정원에 객이 다 떠나니 서글픔이 이는데, 목단 꽃은 다소곳하고 달은 막 지려하는구나. 천고의 시인들은 백발이 되어 저승길 다 갔지만, 남산의 자규(子規)는 밤이 다하도록 울부짖는구나. - 長安寺(장안사) -申佐模 矗矗尖尖怪怪奇(촉촉첨첨괴괴기)하니, 人仙鬼佛摠堪疑(인선귀불총감의)를. 平生詩爲金剛惜(평생시위금강석)이나, 及到金剛便廢詩(급도금강편폐시)를. - 장안사(長安寺) - 우뚝하고 뾰족하고 괴이하고 신기하기에, 사람·신선·귀신·부처님이 모두다 의아해 하네. 평생의 시 공부는 금강산을 읊기 위해서였는데, ..

붓글씨 2022.06.21

悼亡妻歌,偶詠,夢遊山寺

- 悼亡妻歌(도망처가) -金正喜 那將月老訟冥司(나장월노송명사)하야 來世夫妻易地爲(내세부처역지위)오. 我死君生千里外(아사군생천리외)하야 使君知我此心悲(사군지아차심비)를. - 죽은 아내를 애도하는 노래 - 어쩌면 월하노인에게 저승의 관리와 송사케 하여 내세엔 부부가 뒤바뀌어 태어나게 할까. 그땐 그대가 살아있고 내가 천리 먼 데서 먼저 죽어 그대에게 지금 나의 이 슬픔 맛보게 하리라. - 偶詠(우영) - 徐憲淳 山窓盡日抱書眠(산창진일포서면)한데, 石鼎猶留煮茗煙(석정유유자명연)을. 簾外忽聽微雨饗(염외홀청미우향)한데, 滿塘荷葉碧田田(만당하엽벽전전)을. - 우연히 짓다 - 산창 아래 해가 지도록 책을 안고 졸고 있는데, 돌솥 가에는 아직도 차 끓이는 연기 서려있네. 주렴 밖에서 홀연히 가랑비 소리 들리는데, 연못..

붓글씨 2022.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