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글씨 137

卽事,茶山花史,艱飮野店

- 卽事(즉사) - 金鍾秀 簷外松籬籬外溪(첨외송리리외계)라, 小池荷葉與波齊(소지하엽여파제)를. 林花自落無人到(임화자락무인도)한데, 時有幽禽三兩啼(시유유금삼양제)를. - 눈앞의 일을 쓰다 - 처마밖엔 소나무 울타리, 울타리밖엔 시내, 작은 연못 위 연꽃은 물결과 나란히 피었네. 수풀의 꽃은 홀로 져도 와보는 사람 없는데, 때마침 산새 두 세 마리가 찾아와 울어주네. - 茶山花史(다산화사) - 丁若鏞 都無書籍貯山亭(도무서적저산정)하고, 唯是花經與水經(유시화경여수경)을. 頗愛橘林新雨後(파애귤림신우후)하니, 巖泉手取洗茶甁(암천수취세다병)를. - 다산(茶山)의 꽃 이야기 - 초당(草堂)에는 도무지 서적이라곤 없고, 오직 꽃과 물에 대한 책만 있구나. 비가 막 지난 뒤의 귤 숲은 정말 멋스러우니, 바위샘물을 손으로..

붓글씨 2022.06.19

釣臺懷古,大風,晩村雨後

- 釣臺懷古(조대회고) -金時泰 七里灘頭舊釣臺(칠리탄두구조대)에 蒼苔錦石淨無埃(창태금석정무애)를. 秪今不見羊裘客(지금불견양구객)하고 沙上惟餘白鳥來(사상유여백조래)를. - 조대(釣臺)에서의 회고 - 칠 리의 여울 머리 옛 낚시터에 푸른 이끼 낀 비단 같은 바위엔 먼지 한 점 없네. 지금엔 양가죽 옷 걸친 낚시꾼은 보이지 않고 오직 모래 위엔 백구(白鷗)만 남아 오갈 뿐…. - 大風(대풍) - 姜後奭 獨夜殘燈坐讀書(독야잔등좌독서)한데, 寒聲忽起打窓虛(한성홀기타창허)를. 飛廉何事欺吾老(비렴하사기오노)요. 偏入窮村捲草廬(편입궁촌권초려)를. - 큰 바람 - 외로운 밤 희미한 등불 앞에 앉아 독서를 하는데, 차가운 소리 홀연히 일어나 빈 창을 때리는 구나. 바람 신(神)은 무슨 일로 늙은이를 놀리는가. 하필이면 궁..

붓글씨 2022.06.18

路上有見,貧家女,幽居卽事

路上有見 姜世晃 凌 波 羅 襪 去 翩 翩 (능파나말거편편) 一 入 重 門 便 杳 然 (일입중문편묘연) 惟 有 多 情 殘 雪 在 (유유다정잔설재) 屐 痕 留 印 短 墻 邊 (극흔유인단장변) 길에서 보고 비단 버선 사뿐사뿐 발걸음도 단아한데 중문을 한 번 들어서자 그 모습 간 곳 없네 다정도 하여라, 잔설이 아직 덮여 있어 키 낮은 담장을 따라 신발자국 찍혀 있네 - 貧家女(빈가녀) - 劉光澤 拾穗山田薄暮歸(습수산전박모귀)하니, 穉兒匍匐啼柴扉(치아포복제시비)를. 吹火濕薪烟不起(취화습신연불기)하니, 夕餐還到鷄鳴時(석찬환도계명시)를. - 가난한 집의 연인 - 산비탈 밭에 이삭을 줍다가 저물어 돌아오니, 어린 아기는 기어 나와 사립문에서 울고 있네. 젖은 땔감에 불을 지펴도 연기조차 일지 않으니, 저녁밥 먹고 나..

붓글씨 2022.06.17

題僧軸, 湖行絶句 , 戱題

제승축(題僧軸) - 스님의 두루마리에 쓰다. 임유후(任有後) 1601 – 1673 山擁招提石逕斜 洞天幽杳閟雲霞 산옹초제석경사 동천유묘비운하 산온통 절을안아 돌길이 가파른데 골짜기 깊고깊어 구름에 잠겨있다 居僧說我春多事 門巷朝朝掃落花 거승설아춘다사 문항조조소락화 스님은 봄이라서 일많다 말하면서 아침마다 문앞에서 진꽃을 비질하네. 호행절구(湖行絶句) - 충청도를 지나면서 지은 절구 김득신(金得臣) 1604 – 1684 湖西踏塵向秦關 長路行行不暫閑 호서답진향진관 장로행행불잠한 충청도 다지나서 서울로 향해가니 길멀어 가도가도 눈돌릴 짬이없네 驪背睡餘開眼見 暮雲殘雪是何山 여배수여개안견 모운잔설시하산 나귀등 선잠깨어 눈뜨고 바라보니 석양에 남은흰눈 산이름 모르겠네 - 戱題(희제) -李惟泰 水面天心一段淸(수면천심일단..

붓글씨 2022.06.14

楊柳詞,彈琴臺,新燕

楊柳詞(양류사)-琴恪(금각) 送君心逐光風去(송군심축광풍거) : 당신을 보낸 아쉬움에 내 마음 광풍을 쫓아가니 去掛江頭綠柳枝(거괘강두록류지) : 강가 푸른 버드나무 가지에 걸렸네 綠柳能知心裏事(록류능지심리사) : 버드나무 내 마음 다 알겠거니 煙絲强欲繫郎衣(연사강욕계낭의) : 실버들이여 억지로라도 임의 옷자락 잡아다오 - 彈琴臺(탄금대) -李明漢 片雲飛雨過琴臺(편운비우과금대)한데, 招得忠魂酹酒回(초득충혼뢰주회)를. 欲問當時成敗事(욕문당시성패사)나, 暮山無語水聲哀(모산무어수성애)를. 조각 구름, 흩어지는 비 탄금대를 지나는데, 충혼(忠魂)들 불러모아 술을 먹여 보내었네. 당시의 성패사(成敗事)를 묻고자 하나, 저문 산은 말이 없고 물결만 애달프게 우는구나. 新燕(신연) 李植(이식) 萬事悠悠一笑揮(만사유유일소..

붓글씨 2022.06.12

漁舟圖,大同江,破鏡

어주도(漁舟圖) 고기잡이 배 고경명(高敬命, 1533~1592) 蘆洲風颭雪漫空(노주풍점설만공) 沽酒歸來繫短蓬(고주귀래계단봉) 橫笛數聲江月白(횡적수성강월백) 宿禽飛起渚煙中(숙금비기저연중) 갈대밭에 바람 일고 눈보라 몰아쳐 술 받아 돌아와서 쪽배를 묶는데 피리 소리 몇 가락 강물 위로 달 밝아 자던 새 몇 마리가 물안개 속을 나누나 大同江(대동강) 李廷龜 防草萋萋雨後多(방초처처우후다)한데, 夕陽洲畔采菱歌(석양주반채릉가)를. 佳人十幅綃裙綠(가인십폭초군록)하니, 染出南湖春水波(염출남호춘수파)를. - 대동강(大同江) - 비 온 뒤라, 방초(芳草)가 무성히 불어났는데, 석양의 섬 가에는 채릉가(采菱歌) 소리 들려오네. 고운 그녀의 열 폭 생사(生絲) 치마는 푸른빛 머금었으니, 남호(南湖)의 봄 물결에서 물감을 짜내..

붓글씨 2022.06.11

陶原卽事,宮柳詩, 西江

陶原卽事(도원즉사) 도원에서의 일을 쓰다. 조헌(趙憲) 靜裏冥觀萬化源(정리명관만화원)하니, 一春生意滿乾坤(일춘생의만건곤)을. 請君莫問囊儲乏(청군막문낭저핍)하라. 山雨終朝長菜根(산우종조장채근)을. 고요 속에 뭇 조화의 근원 통찰해보니, 봄이 품은 생명의 의지 천지간에 가득 찼네. 청컨대, 그대는 주머니가 비었음을 근심 마라. 산 비가 아침 내내 내려 풀뿌리 길러주나니. 宮柳詩 權韠 宮柳靑靑花亂飛 (궁류청청화난비) 궁궐의 버들 푸르고 푸르른데 꽃잎은 어지러이 흩날려 ​滿城冠蓋媚春暉 (만성관개미춘휘) 성안에 가득 벼슬아치들 봄빛에 아양을 떠네 ​朝家共賀升平樂 (조가공하승평락) 조정 태평세월 입모아 노래하지만 ​誰遣危言出布衣 (수견위언출포의) 뉘라서 포의로 쫓겨 날지언정 바른 말 하게 하나 -西江(서강)- 韓濩..

붓글씨 2022.06.10

贈妓湖南月, 贈朴思菴淳

贈妓湖南月[증기호남월]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기녀 호남월에게 주다. 一曲淸歌洛下聞[일곡청가낙하문] : 맑은 노래 한 곡조로 서울에 소문이 났고 王孫臺閣舊羅裙[왕손대각구라군] : 왕손의 누각에서 비단 치마 오래 묵었네. 繁華散盡隨流水[번화산진수류수] : 번화함 다 흩어지며 흐르듯 물을 따르며 舞向秋風淚滿雲[무향추풍루만운] : 추풍에 춤을 추려니 구름에 눈물 가득하네. - 贈朴思菴淳(증박사암순) - 小屋高懸近紫微(소옥고현근자미)한데, 月邊僧影渡江飛(월변승영도강비)를. 西湖處士來相宿(서호처사래상숙)하니, 東岳白雲沾草衣(동악백운첨초의)를. - 사암(思菴) 박순(朴淳)에게 주다 - 작은 암자 벼랑 높이 걸려 자미성(紫微星)에 가까운데, 달 곁에는 스님의 그림자 날듯이 배타고 강을 건너네. 서호(西湖)의 처사..

붓글씨 2022.06.09

次環碧堂韻,采蓮曲次大同樓船韻,題二養亭壁

간밤에 살짝 비가 내려 대지가 촉촉하나 긴 장마에 비해 어림없이 적은 강우량이다. 아침에 활터에 올라 활을 내어본다. 올뜻 말뜻한 감이 제대로 오지는 않으나 동작하나하나에 신경을 쓰고 만작에 지사가 되면 그런데로 의도한 성적을 낼 것 같기도하다. 며칠후 궁도대회에 경험상 출전신청을 하였는데 걱정과 기대가 동시에 된다. 흐린하늘이 점차 개이고 오전에 활을 내다가 점심을 먹고는 인근의 원미산을 걸어본다. 귀가하여 붓을 잡고 한시를 써본다. 마음에 들지않은 글씨이지만 한술 밥에 배부르랴고 생각하면서 하루 세편의 작품을 그리듯 습사하는 것이다. 次環碧堂韻 차환벽당운(환벽당 운에 따라 짓다) 鄭澈 一道飛泉兩岸間 한 줄기 샘물 나는 듯 두 언덕 사이에 흐르고 採菱歌起蓼花灣 마름 따며 노래 절로 이는 여귀꽃 핀 물굽..

붓글씨 2022.06.08

無爲,楓嶽贈小菴老僧,有僧指軸來謁 軸中有栗谷詩

無爲【무위】 ㅡ 李彦迪 萬物變遷無定態 【만물변천무정태】 만물은 변하고 바뀌어 정한 모습 없는 터 一身閑適自隨時 【일신한적자수시】 내 한 몸 한적하게 세월 따라 살아가네 年來漸省經營力 【연래점생경영력】 근년엔 경영하는 힘도 점차 줄어 長對靑山不賦詩 【장대청산불부시】 푸른 산 마주하고도 내내 시를 짓지 아니하네 楓嶽贈小菴老僧 李珥 魚躍鳶飛上下同 고기가 뛰고 솔개가 날아, 본래 아래 위가 하나인데, 這般非色亦非空 저것은 색도 아니고 공도 아니니 ‘색즉공(色卽空), 공즉색(空卽色)’이니라. 等閒一笑看身世 등한일소(等閑一笑)하고 내 신세 돌아보며, 獨立斜陽萬木中 석양 비낀 숲 속에 홀로 서 있더라. - 有僧指軸來謁(유승지축래알), 軸中有栗谷詩(축중유율곡시) -成渾 知音已去朱絃絶(지음이거주현절)하니, 山月孤來溪水悲..

붓글씨 202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