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궁 154

기묘한 활

내일부터 20일간 긴여정을 떠나니 아침에 활터에 올라 습사를 한다. 어제는 그렇게도 맞질않고 짧은 살이 나오며 10순 50발중 4번이나 불을 내면서 평0.8중에 그쳤다. 첫순과 두번째순이 불을 낸다.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세번째순에 3발이 관중되면서 체크해보니 거궁시 높이가 낮아 제대로 시위를 당기지 못하며 만작이 이루어지지 않은것을 깨달았다. 마음이 평정하고 안정되어야하는데 줌통을 다시 제작하면서 활에 부프러기가 생겨 풀을 살짝 발랐는데 그것이 쉽게 건조되지않고 하루가 지났음에도 끈적이니 신경이 쓰인다. 다시 세순에 7발이 관중이 되더니만 7순째 다섯발이 관중되는 몰기가 된다. 금년들어 9번째 몰기이다. 구사들은 하루에도 두세번씩 몰기를 하거나 연속하여 몰기를 하기도 하는데 그것이 쉽지않은 일이다. ..

국궁 2023.07.18

어려운 활

활을 잡고 신사시절이후로 이렇게 관중이 되지않은 경우가 없었다. 그래도 평1중이상의 시수를 꾸준하게 내었으며 컨디션에 따라 평2중이상의 시수를 내었는데, 오늘은 60여발에 5중 0.4중에 그치며 8순 40여발을 불을 내었다. 잘 쏘기위한 자세의 변화라던지 화살이나 활을 바꾸면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자세의 조정이나 좀 더 나은 발전을 위한 것이라면 그것또한 좋은일이다. 그런데 그러한 것도 아니면서 왜 그럴까? 이유는 줌손 하삼지의 힘을 키우기위해 틈날때마다 악력기를 해주는 것이 좋다고해서 어제하루동안 처음으로 아마도 7~8백회의 악력운동을 하여 손가락이 얼얼할 정도라는 것과 오늘 날씨가 무덥다는 것, 또하나는 어제 지적받은 각지손이 뒤로 빠지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진다는 것 정도이..

국궁 2023.07.06

비오는 날 습사

애초에는 태백의 두문동재에서 대덕산을 걷는 트레킹을 신청한 날인데, 장마중이고 많은 비가 내린다고해서 예약을 다음날로 미루고는 활터를 향했다. 비가내리니 올라온 사우가 별로 없으리라 생각하였는데 휴게소문을 여니 이미 네사람이 와있으니 '비가 오는데 그렇게 할 일이 없냐'고 농담 한마디를 하고는 한바탕 웃는다. 사대에 서서 활을 내노라니 첫순에 한발이 관중이 되고,두번째 순에서는 네발이 관중이 된다. 묘한 것이 활이라 분명 같은 자세를 취하고 발시하는 것 같은데도 무언가 자세가 바르지않고 잘못되었으니 관중이 되지않고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거나,길거나 짧은 살이 나온다. 한순간 하늘이 컴컴해지며 빗줄기가 요란하게 쏟아진다. 폭우가 내리고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다시 하늘이 맑아지며 빗줄기는 약해지나 지속해..

국궁 2023.06.29

7번째 몰기

도반이 결혼식에 참석하여 아침부터 활터에 올랐다. 화살을 5.5X5.5의 도반 것으로 바꾸고 습사한지가 사흘정도 흘렀는데 될듯 될듯 하는 상태이다. 촉까지 만작으로 당기고는 표를 어디를 보아야하는지 망설이다가 줌손은 먹관이 되어 보이지 않으니, 줌손의 활과 화살사이로 과녁의 우측상단을 맞추니 되는 듯하다.몇순을 내어보는데 관중이 되기도하고 과녁을 넘거나 앞뒤가 나기도 하나, 방향은 거의일정하고 길게나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것은 촉까지 만작으로 당기면서,줌손의 하삼지로 활을 밀면서,지사를 하고는 각지손을 적절한 시점에서 뺏기지않고 화살을 발시하여야한다. 호흡을 맞추면서 이러한 동작을 몇번 반복하니 고정적인 시수가 나오더니 어느순간 몰기가 된다. 금년들어 7번째 몰기이다. 명궁들과 구사들이야 하루에도 한두..

국궁 2023.06.24

화살에 대한 고민

국궁을 시작하여 한달여가 지나면서 구사들이 활을 구입하라고 49파운드의 활과 6.5x6.5의 화살을 맞춰 주문하였으니 그것으로 사용하다가, 일년정도 후 고문으로 계시는 분이 47파운드의 활을 인수하라고해서 4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활과 화살로 습사를 하고있다. 몇차례의 자세를 바꾸면서 수정하여왔는데, 최근에 화살을 촉까지 당기려고 각지손을 내리다보니 보기가 좋지않은 자세라고,적당한 거리를 당기고는 발시하면서 부족한 거리를 표를 조금 높여 습사하여왔다. 오늘 모처럼 활터를 오후에 나갔더니 습사하는 자세를 보고는 화살이 길다고 지적을 한다. 촉까지 당기지를 못하면 당길때마다 당기는 거리가 틀려 일정한 자세가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화살도 앞나거나 뒤나거나하기가 쉽다고 한다. 추천하는 5.5*6.0의 화살로..

국궁 2023.06.21

꾸준한 습사

국궁은 어찌보면 우리네 인생사와 비슷한 것 같다. 어떤날은 잘 관중이 되고 또 어떤날은 앞나기도하고 뒤나기도 하며 거리가 짧고 길고 엉망인 날도 있다. 그러나 꾸준하게 노력하면 자기만의 자세를 가질수 있고 좋은 시수도 낼 수가 있을 것처럼, 우리네 인생사도 그러하지 않은가 싶다. 부지런히 습사하다가 자세가 좋지않다고하니 폼생폼사라고 자세를 한번 수정해본다. 국궁에서 무엇하나를 바꾸게되면 그것을 익히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화살을 촉까지 당기기위해 각지손의 팔굼치를 아래로 떨어뜨리던 것을 적당하게 줌손과 평행선을 유지하는 정도까지만 당기는 연습을 한다. 그러다보니 화살을 촉까지 당기지 못하니 당연히 거리가 짧아진다. 거리를 내기위해 줌손의 표를 낮추어야한다. 며칠간 연습을 하다보니 거리가 과녁을..

국궁 2023.06.14

자세의 변경

며칠을 쉬고 활터에 올랐더니 몇몇사우들이 습사를 하고있다. 공사로 인해 사흘을 쉬고는 사대에서 습사를 하는데 관중도 되지않고 무언가 이상하다. 몇순을 내노라니 가끔 활터를 오르는 사우가 자세가 보기 좋지 않다며 수정을 권고한다. 원칙적으로 활터에는 교장과 사범이 있어 신사가 들어오거나 사우들의 자세등을 교정하고 가르치는 일을 전담하고 있다. 그외의 사우들은 다른 사우들의 습사에 대해 관여하거나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어있다. 촉까지 당기는 만작의 자세를 취하다보니 각지손이 아래방향으로 처진다는 지적이다. 팔굼치를 뒤로 당겼는데도 불구하고 촉까지 들어오지 않으니, 팔굼치를 내리면서 인위적으로 촉을 줌손까지 끌어 당기면서 보기에도 좋지않고 자세가 뒤로 눕는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줌손이 흔들리면서 거리는 나오지..

국궁 2023.05.25

편사(便射)

오전에 활터에 올랐더니, 대회출전으로 인해 한산하리라 생각하였던 활터가 예상밖으로 몇사람이 먼저 올라와있다. 어제의 대회에서 단체전과 개인전을 동시에 마치고 일찍 철수하였다고한다. 몇순의 활을 내다가보니 어느사이 편사를 하기위해 조를 짜 놓았다. 편사라함은 활 쏘는 사람들이 자기가 속한 사정(射亭)에 따라 서로 편을 나누어 활 쏘는 재주를 겨루던 일을 말한다. 두순경기를 하고는 팀을 갈라 순위를 결정하기로하였다. 실제 경기에 임해 활을 쏘아보니 역시 쉽지가 않다. 근래들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관중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거리도 제대로 나오질 않는다. 첫순에서 한발이 관중되고 두번째 순에서 두발이 관중되어 도합 세발 관중이다. 11명을 제비 뽑기로 갈라보니 패전팀에 속해 내기에서 진 것이다. 승자 만원,패자 ..

국궁 2023.05.21

4,5차 몰기

하루를 쉬고 오른 활터,오월 중순을 접어드는데 벌써 여름의 기온이 느껴질 듯한 날이다. 이상기온으로 인해 계절의 변화가 조금 빠르게 진행되는 듯하다. 매일 걷는 산책길에는 찔레꽃과 더불어 아카시아가 활짝 피어났는데 그 향기가 거의 없으니 이 또한 이변이다. 윙윙거리며 화분을 날으고 수정을 시켜야 할 벌들을 볼 수가 없는 것도 커다란 이변중 하나이다. 활터를 오르니 이미 서너명의 사우들이 사대에서 습사를 하고있다. 첫순을 내어보니 모두 불발이다. 조금 신경을 써서 만작을 하고 두번째 순을 내니 4중,마지막 한발이 어긋난다. 세번째 순은 모두가 관중되는 몰기가 된다. 금년들어 4번째이다. 이어지는 순에서도 4중,2중,2중,4중이 되더니 홀로선 8번째순에서도 몰기가 된다. 하루습사에 두번 몰기가 되는 것은 활..

국궁 2023.05.10

수리정대회

군포시장배 경기도 궁도대회에 참가하기위에 6시에 기상하여 식사후 집을나서니, 8시가 지나 수리산부근의 수리정에 도착을 했다고 내비가 알리나 우리가 찾는 활터가 아니다. 대회에 참가한 다른 두팀도 같이 두어군데를 헤메이다 겨우 내리는 빗속에 활터에 도착한다. 주차후 활터까지 십여분을 걸어 오른다. 비내리는 수리정은 수리산자락에 자리잡은 아늑하고도 한적한 활터이나 3관규모이며 정을 신축한지 일년되는 기념으로 대회를 개최한 듯하다. 이미 새벽같이 도착한 많은 사람들이 활을 내고 있고, 작대를 넣으니 19대. 길고 긴 대기시간이 있어야한다. 미천한 실력으로 네번째 대회에 참가하지만 기다림의 시간이 무척이나 길고 지루하다. 그나마 전국대회나 승단대회가 아니고 도대회이니 기다림이 그렇게 길지는 않을 듯하다. 12대..

국궁 2023.05.07